대승찬(大乘讚)
지공화상(誌空和尙) 지음
무심선원 김태완 번역 참조
1. 大道常在目前(대도상재목전) 雖在目前難覩(수재목전난도)
큰 도는 늘 눈앞에 있는데, 눈앞에 있지만 보기는 어렵다.
2. 若欲悟道眞體(약욕오도진체) 莫除聲色言語(막제성색언어)
도의 참된 모습을 깨닫고자 한다면, 소리, 색, 언어를 제거하지 마라.
3. 言語卽是大道(언어즉시대도) 不假斷除煩惱(불가단제번뇌)
언어가 곧 큰 도이니, 번뇌를 끊어 제거할 필요가 없다.
4. 煩惱本來空寂(번뇌본래공적) 妄情濾相纏繞(망정여상전요)
번뇌는 본래 텅 비고 고요하지만, 허망한 생각이 번갈아 서로 얽힌다.
5. 一切如影如響(일체여영여향) 不知何惡何好(부지하오하호)
모든 것이 그림자 같고 메아리 같으니,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싫어하랴?
6. 有心取相爲實(유심취상위실) 定是見性不了(정시생사불요)
마음을 가지고 모습을 취하여 진실이라고 여기면, 끝내 견성(見性)하지 못함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7. 若欲作業求佛(약욕작업구불) 業是生死大兆(업시생사대조)
업(業)을 지어 부처를 찾으려 하지만, 업이 바로 삶과 죽음의 큰 조짐이다.
8. 生死業常隨身(생사업상수신) 黑闇獄中未曉(흑암옥중미효)
죽음과 삶에 얽매는 업이 늘 몸을 따르니, 깜깜하게 어두운 감옥 속에서 여태 깨닫지 못한다.
9. 悟理本來無異(오이본래무이) 覺後誰晩誰早(각후수만수조)
(참 나의) 이치를 깨달으면 본래 다름이 없으니, 깨달은 뒤에 누가 늦고 누가 빠르겠는가?
10. 法界量同太虛(법계량동태허) 衆生智心自小(중생지심자소)
법계의 크기는 큰 허공과 같거늘, 중생같은 마음과 지혜로 스스로 작다 한다.
11. 但能不起吾我(단능불기오아) 涅槃法食常飽(열반법식상포)
단지 '나다' '나다' 하는 마음만 일으키지 않으면, 열반의 진리 음식으로 항상 배가 부르리.
12. 妄身臨鏡照影(망신임경조영) 影與妄身不殊(영여망신부수)
허망한 몸이 거울에 영상으로 비추어지나, 몸은 영상과 같이 허망하여 참된 실체가 아니네.
13. 但欲去影留身(단욕거영유신) 不知身本同虛(부지신본동허)
영상은 버리고 몸만 남기려 한다면, 몸이 본래 허공과 같음을 모르는 것이다.
14. 身本與影不異(신본여영불이) 不得一有一無(부득일유일무)
몸은 본래 영상과 다르지 않으니, 하나는 있게 하고 하나는 없게 할 수 없다.
15. 若欲存一捨一(약욕존일사일) 永與眞理相疎(영여진리상소)
만약 하나는 두고 하나는 버리려 한다면, 진리와 서로 영원히 멀어질 것이다.
16. 更若愛聖憎凡(경약애성증범) 生死海裏沈浮(생사해리침부)
또한 성인을 좋아하고 범부를 싫어한다면, 삶과 죽음의 바다 속에서 떠돌아다닐 것이다.
17. 煩惱因心有故(번뇌인심유고) 無心煩惱何居(무심번뇌하거)
번뇌는 마음으로 말미암아 있으니, 마음이 없다면 번뇌가 어디 있겠는가?
18. 不勞分別取相(부노분별취상) 自然得道須臾(자연득도수유)
애써 분별하여 모양을 취하지 않으면, 잠깐 사이에 저절로 도를 얻는다.
19. 夢時夢中造作(몽시몽중조작) 覺時覺境都無(각시각경도무)
꿈꿀 때에는 꿈속에서 조작하지만, 깨어 있을 때에는 깨어난 경계가 전혀 없다.
20. 翻思覺時與夢(번사각시여몽) 顚倒二見不殊(전도이견부수)
깨어 있을 때와 꿈꿀 때를 뒤집어 생각해 보니, 뒤집어진 두 견해가 다르지 않구나.
21. 改迷取覺求利(개미취각구리) 何異販賣商徒(하이판매상도)
어리석음을 깨달음으로 바꾸어 이익을 구하면, 장사하는 무리와 뭐가 다르랴.
22. 動靜兩亡常寂(동정양망상적) 自然契合眞如(자연계합진여)
움직임과 고요함이 모두 없어 늘 고요하면, 저절로 진여에 계합하리라.
23. 若言衆生異佛(약어중생이불) 迢迢與佛常疎(초초여불상소)
중생이 부처와 다르다고 말한다면, 부처와는 늘 까마득히 멀다.
24. 佛與衆生不二(불여중생불이) 自然究竟無餘(자연구경무여)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면, 저절로 남김없이 구경이리라.
25. 法性本來常寂(법성본래상적) 蕩蕩無有邊畔(탕탕무유변반)
법성은 본래 늘 고요하고, 넓고 넓어서 끝이 없는데,
26. 安心取捨之間(안심취사지간) 被他二境迴換(피타이경회환)
편한 마음으로 취하고 버리는 사이에, 저 두 가지 경계에 휘말리는구나.
27. 斂容入定坐禪(렴용입정좌선) 攝境安心覺觀(섭경안심각관)
용모를 단정히 하고 선정에 들어, 마음을 모아 안정시켜 깨어서 관찰하지만,
28. 機關木人修道(기관목인수도) 何時得達彼岸(하시득달피안)
나무로 만든 꼭두각시가 도를 닦는 것과 같으니, 언제 피안에 도달할 수 있겠는가?
29. 諸法本空無著(제법본공무착) 景以浮雲會散(경이부운회산)
모든 법은 본래 텅 비어서 집착할 것이 없고, 경계는 뜬 구름 같이 모였다가 흩어진다.
30. 忽悟本性元空(홀오본성원공) 悟以熱病得汗(오이열병득한)
본성이 원래 공임을 문득 깨달으면, 마치 열병에 걸린 사람이 땀을 낸 것과 같다.
31. 無智人前莫說(무지인전막설) 打爾色身星散(타의색신성산)
지혜 없는 사람 앞에서는 말하지 말지니, 그의 몸뚱이를 별똥처럼 흩어 버리게 될 것이다.
32. 報爾衆生直道(보이중생직도) 非有卽是非無(비유즉시비무)
그대 중생에게 바른 도를 알려 주노니, '있지 않음'이 곧 '없지 않음'이니라.
33. 非有非無不二(비유비무불이) 何須對有論虛(하수대유논허)
'있지 않음'과 '없지 않음'은 둘이 아니니, 무엇 때문에 '있음'에 대하여 '없음'을 논하랴?
34. 有無妄心立號(유무망심입호) 一破一箇不居(일파일개불거)
'있음'과 '없음'은 망령된 마음이 세운 이름이라. 한 번 부수면 하나도 남지 않는다.
35. 兩名由爾情作(양명유이정작) 無情卽本眞如(무정즉본진여)
두 이름은 그대의 정식으로 말미암아 생기니, 정식이 없으면 본래 진여이다.
36. 若欲存情覓佛(약욕존정멱불) 將網山上羅魚(장망산상라어)
만약 정식을 가지고 부처를 찾으려 한다면, 그물을 가지고 산에서 고기를 잡으려 하는 것과 같다.
37. 徒費功夫無益(도비공부무익) 幾許枉用工夫(기허왕용공부)
헛되이 애만 쓸 뿐 이익이 없으니, 얼마나 부질없는 공부인가?
38. 不解卽心卽佛(불해즉심즉불) 眞以騎驪覓驪(진이기여멱여)
이 마음이 곧 부처임을 알지 못하면, 진실로 나귀를 타고서 나귀를 찾는 꼴이다.
39. 一切不憎不愛(일체부증부애) 遮箇煩惱須除(차개번뇌소제)
그 무엇도 싫어하지도 않고 좋아하지도 않으면, 이 번뇌가 틀림없이 제거될 것이다.
40. 除之則須除身(제지칙수제신) 除身無佛無因(제신무불무인)
번뇌를 제거하면 자신도 제거하게 되니, 자신을 제거하면 부처도 없고 인과도 없다.
41. 無佛無因可得(무불무인가득) 自然無法無人(자연무법무인)
얻을 부처도 없고 얻을 인과도 없으면, 저절로 법도 없고 사람도 없다.
42. 大道不由行得(대도불유행득) 說行權爲凡愚(설행권위범우)
대도는 수행을 통해 얻는 것이 아니니, 수행을 방편으로 말함은 범부의 어리석음 때문이다.
43. 得理返觀於行(특이반관어행) 始知枉用工夫(시지왕용공부)
이치를 깨닫고 돌이켜 수행을 살펴보면, 공부한다고 헛되이 애쓴 줄 비로소 알리라.
44. 夫悟圓通大理(부오원통대리) 要須言行相扶(요수언행상부)
두루 통하는 큰 이치를 아직 깨닫지 못했다면, 모름지기 말과 행동이 서로 돕게 해야 한다.
45. 不得執他知解(부득집타지해) 廻光返本全無(회광반본전무)
알음알이에 집착해서는 안 되니, 돌이켜 보면 근본에는 아무것도 없다.
46. 有誰解會此說(유수해회차설) 敎君向己推求(교군향기추구)
누가 이러한 말을 이해하겠는가? 그대는 자기에게서 미루어 찾아라.
47. 自見昔時罪過(자견석시죄과) 除却五欲瘡疣(제각오욕창우)
스스로 지난날의 허물을 보아서, 오욕의 부스럼을 없애야 하리.
48. 解脫逍遙自在(해탈소요자재) 隨方賤賣風流(수방천매풍류)
해탈하면 자재하게 노닐면서, 곳곳에서 풍류를 값싸게 판다.
49. 誰是發心買者(수시발심매자) 亦得以我無憂(역득이아무환)
누가 마음을 내어 사는 사람인가? 사게 되면 나와 같이 근심 없으리.
50. 內見外見總惡(내견외견총악) 佛道魔道俱錯(불도마도구착)
부처의 견해와 외도의 견해가 모두 나쁘고, 불도와 마도가 모두 잘못이네.
51. 被此二大波旬(피차이대파순) 便卽厭苦求樂(변즉염고구락)
이 두 가지 커다란 악마에게 사로잡히면, 즉시 괴로움을 싫어하고 즐거움을 찾는다.
52. 生死悟本體空(생사오본체공) 佛魔何處安著(불마하처안저)
삶과 죽음의 본바탕이 공임을 깨달으면, 부처와 마귀가 어느 곳에 붙겠는가?
53. 只由妄情分別(지유망정분별) 前身後身孤薄(전신후신고박)
다만 허망한 정식으로 분별하므로, 앞몸과 뒷몸이 외롭고 보잘 것 없으니,
54. 輪廻六道不停(윤회육도부정) 結業不能除却(결업불능제각)
육도 윤회를 쉬지 못하고, 맺은 업을 없애지 못하는구나.
55. 所以流浪生死(소이유랑생사) 皆由橫生經略(개유횡생경략)
삶과 죽음을 떠돌아 다니는 까닭은 모두가 제멋대로 꾀를 부리기 때문이다.
56. 身本虛無不實(신본허무부실) 返本是誰斟酌(반본시수짐작)
몸은 본래 허무하여 진실이 아니니, 근원으로 돌아가면 누가 헤아려 보랴?
57. 有無我自能爲(유무아자능위) 不勞妄心卜度(불로망심복탁)
'있음'과 '없음'은 나 스스로 만든 것이니, 망령된 마음으로 애써 헤아리지 마라.
58. 衆生身同太虛(중생신동태허) 煩惱何處安著(번뇌하처안착)
중생의 몸은 허공과 같으니, 번뇌가 어느 곳에 붙겠는가?
59. 但無一切希求(단무일체희구) 煩惱自然消落(번뇌자연소락)
다만 아무 것도 바라거나 찾지 않으면, 번뇌는 저절로 없어지리라.
60. 可笑衆生蠢蠢(가소중생준준) 各執一般異見(각집일반이견)
우습구나, 중생들의 꿈틀거림이. 제각기 다른 소견에 집착하여 있구나.
61. 但欲傍求餠(단욕방오구병) 不解返本觀麵(불해반본관면)
다만 냄비 옆에서 빈대떡 먹기를 바랄 뿐, 근본으로 돌이켜 밀가루 볼 줄은 모른다.
62. 麵是正邪之本(면시정사지본) 由人造作百變(유인조작백변)
밀가루가 옳고 그름의 근본이지만, 사람이 조작하여 백 가지로 달라진다.
63. 所須任意縱橫(소수임의종횡) 不假偏耽愛戀(불가편탐애연)
반드시 뜻대로 자유자재하면, 치우쳐 애욕을 탐내지 않는다.
64. 無著卽是解脫(무저즉시해탈) 有求又遭羅e(유구우조라견)
집착 없음이 곧 해탈이요, 찾음이 있으면 다시 그물에 걸린다.
65. 慈心一切平等(자심일체평등) 眞卽菩提自現(진즉보제자현)
자비로운 마음은 일체에 평등하니, 진실로 그렇다면 깨달음이 스스로 나타나리.
66. 若懷彼我二心(약회피아이심) 對面不見佛面(대면불견불면)
만약 '너'와 '나'라는 두 마음을 품으면, 부처를 마주보고도 부처를 알아보지 못할 것이다.
67. 世間幾許癡人(세간기허치인) 將道復欲求道(장도복욕구도)
세간에는 얼마나 어리석은 사람이 많은가? 도를 가지고 다시 도를 찾으려 하는구나.
68. 廣尋諸義紛紜(광심제의분운) 自救己身不了(자구기신불료)
온갖 뜻을 찾아 이리저리 바쁘지만, 자기 몸도 스스로 구제하지 못하네.
69. 專尋他文亂說(전심타문난설) 自稱至理妙好(자칭지리묘호)
오로지 남의 글과 어지러운 말만을 찾아서, 지극한 이치가 묘하고 좋다고 스스로 말하면서.
70. 徒勞一生虛過(도로일생허과) 永劫沈淪生老(영겁침륜생로)
애만 쓰고 공도 없이 일생을 헛되이 보내면서, 영원토록 생로병사의 바다에 빠져 있구나.
71. 濁愛纏心不捨(탁애전심불사) 淸淨智心自惱(청정지심자뇌)
더러운 애욕에 묶인 마음 버리지 못하면, 깨끗한 지혜의 마음이 스스로 번뇌하니,
72. 眞如法界叢林(진여법계총림) 返生荊棘荒草(반생형극황초)
진여법계의 울창한 숲이 도리어 가시밭과 잡초밭 되며,
73. 但執黃葉爲金(단집황엽위금) 不悟棄金求寶(불오기금구보)
다만 누런 낙엽을 황금이라 여겨 붙잡고서, 황금을 버리고 따로 보배를 찾는 줄 깨닫지 못하네.
74. 所以失念狂走(소이실념광주) 强力裝持相好(강력장지상호)
그 까닭에 망상에 떨어져 마쳐 날뛰며, 억지로 겉모습 꾸미는 데에만 힘을 쏟는다.
75. 口內誦經誦論(구내송경송론) 心裏尋常枯槁(심리심상고고)
입 속으론 경을 외우고 논을 읽으나, 마음속은 언제나 바짝 말라 있구나.
76. 一朝覺本心空(일조각본심공) 具足眞如不少(구족진여불소)
본래 마음이 공임을 하루아침에 깨달으면 완전히 갖추어진 진여는 모자람이 없다.
77. 聲聞心心斷惑(성문심심단혹) 能斷之心是賊(능단지심시적)
성문은 마음 마음에 미혹을 끊지만, 잘 끊는 그 마음이 바로 도둑놈이다.
78. 賊賊遞相除遣(적적체상제견) 何時了本語默(하시요본어묵)
도둑과 도둑이 번갈아 서로 밀어내고 쫓아내니, 어느 때에 근본을 깨달아 말을 멈추려나?
79. 口內誦經千券(구내송경천권) 體上問經不識(체상문경불식)
입으로는 천권의 경전을 읽고 있으나, 근본 바탕에서 경전을 물어보면 알지 못한다.
80. 不解佛法圓通(불해불법원통) 徒勞尋行數墨(도로심행수묵)
두루 통하는 불법을 알지 못하고, 글 자취 찾아다니며 헛수고만 하네.
81. 頭陀阿練苦行(두타아련고행) 希望後身功德(희망후신공덕)
조용한 산 속에서 고행을 하며, 뒷세상에 올 몸의 공덕을 바라지만,
82. 希望卽是隔聖(희망즉시격성) 大道何由可得(대도하유가득)
바람이 있으면 곧 성인과 멀어져 버리니, 큰 도를 어떻게 얻을 수 있겠는가?
83. 譬如夢裏度河(비여몽리도하) 船師度過河北(선사도과하북)
비유하면 꿈속에서 강을 건너는 것과 같으니, 뱃사공이 강 저쪽으로 건네줬으나,
84. 忽覺床上安眠(홀각상상안면) 失却度船軌則(실각도선궤칙)
침상에서 문득 단잠을 깨 보니, 나룻배로 건넌 일 잃어버렸구나.
85. 船師及彼度人(선사급피도인) 兩箇本不相識(양개본불상식)
뱃사공과 저쪽으로 건너간 사람, 두 사람은 본래 서로 알지 못한다.
86. 衆生迷倒羈絆(중생미도기반) 往來三界疲極(왕래삼계피득)
중생은 헤매다가 거꾸로 얽매이어 삼계에서 오고 감에 피로하기 끝이 없다.
87. 覺悟生死如夢(각오생사여몽) 一切求心自息(일체구심자식)
삶과 죽음이 꿈과 같음을 깨닫는다면 모든 찾는 마음 저절로 쉬어지리라.
88. 悟解卽是菩提(오해즉시보리) 了本無有階梯(료본무유계제)
깨달아 아는 것이 곧 보리이니, 깨달으면 본래 단계가 없다.
89. 堪歎凡夫傴僂(감탄범부구루) 八十不能跋蹄(팔십불능발제)
곱사등이 같은 범부들이여. 팔십 나이에도 마음대로 걷지도 못하는구나.
90. 徒勞一生虛過(도로일생허과) 不覺日月遷移(불각일월천이)
헛수고만 하고 일생을 헛되이 보내면서 세월의 흐름도 알지 못하네.
91. 向上看他師口(향상간타사구) 恰似失嬭孩兒(흡사실내해아)
위로 저 스승의 입을 바라봄에 마치 어미 잃은 아이와 같으며,
92. 道俗崢嶸集聚(도속정협집취) 終日聽他死語(종일청타사어)
출가인과 재가인이 빽빽이 모여 종일토록 죽은 말만 듣고 있구나.
93. 不觀己身無常(불관기신무상) 心行貪如狼虎(심행탐여랑호)
자기의 몸 무상한 줄 보지 못하고, 마음을 씀에 탐욕이 아리나 호랑이와 같네.
94. 堪嗟二乘狹劣(감차이승협열) 要須摧伏六府(요수최복육부)
불쌍하구나. 좁고 못난 이승들이여, 육근을 억눌러 항복시키고자 하며,
95. 不食酒肉五辛(불식주육오신) 邪眼看他飮咀(사안간타음저)
술과 고기 오신채를 먹지 않으며, 삿된 눈으로 남이 마시고 먹는 것을 바라보네.
96. 更有邪行猖狂(갱유사행창광) 修氣不食鹽醋(수기불식염초)
더욱이 삿된 행위로 어지럽게 날뛰며, 기운을 닦으며 소금과 식초도 먹지 않는다.
97. 若悟上乘至眞(약오상승지진) 不假分別男女(불가분별남녀)
그러나 만약 상승의 지극한 진리를 깨달으면 남자와 여자라는 분별도 없으리.
선사선담 - 유마경 (0) | 2016.03.14 |
---|---|
선사선담 -황벽희운선사 황벽어록 전심법요- (0) | 2016.03.14 |
진제스님 "세 가지 질문에 답하면 내 주장자를 주리라.” (0) | 2016.01.03 |
전강선사의 `이뭣고?` 화두하는 법(쇠소방에서 퍼옴) (0) | 2015.07.23 |
만공선사의 `조주무자` 화두 참구하는 법(쇠소방에서 퍼옴) (0) | 201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