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로법문 2014.11.21. 19:51
http://blog.naver.com/mcrane/220180829808
|
──────────────────────── '나'를 찾는 참선參禪 - 만공 스님[滿空] ────────────────────────
1 세상에는 |
'나'를 찾는 법을 가르쳐 주는 선생도 없고, 장소
場도 없다. 다만, 선방禪房에서만 나를 찾는 유일한 정도正路를 가르쳐 주나니라.
2 수행[參禪]한다는 것은 각자가 자기 정신精神을 수습해 가는 공부를
한다는 말인데, 누구에게나 다 시급時急한 일이 아닐 수 없나니라.
3 세상의 학문은 당대 그 몸의 망상에서 일시적 이용으로 끝나고 말지만, 참선학學은
세세 생생 어느 때, 어느 곳, 어느 몸으로 생활을 하던지 구애됨이 없이 활용用되는
학문學問이니라.
4 산중의 선방만 선방禪房이 아니라 참선하는 사람은 각각 자기 육체가 곧 선방이라,
선방에 상주常住 하는 것이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默動靜에 중단없이 정진
할 수 있나니라.
5 참선은 혼자는 하지 못하는 것이니, 반드시 선지식善知識을 여의지 말아야 하나니,
선지식은 인생 문제를 비롯하여 일체 문제에 걸림이 없이 바르게 가르쳐 주나니라.
6 선지식을 만나 법문 한 마디 얻어 듣기란 천만겁千萬劫에 만나기 어려운 일이니,
법문 한 마디를 옳게 알아 듣는다면 참선할 것 없이 곧 나를 깨달을 수 있나니라.
7 법문法門 들을 때는 살얼음 밟듯 정신을 모아 간절한 마음으로 들어야 하나니라.
8 선지식은 선생이니 박사니 하는 막연한 이름뿐이 아니라, 일체 이치에
요달了達된 사람으로 불조佛祖의 혜명惠命을 상속相續 받은 분이니라.
9 이理와 사事는 같은 원圓이라, 어느 각도에서 출발하든 쉬지 않고 정진하면 그 목적
이 이루어질 수 있기는 하지만, '나' 를 발견發見하기까지는 선지식의 가르침이 없이
는 될 수 없나니라.
10 선지식의 법문을 듣고도 흘려 버리고, 신행信行이
없으면 법문을 다시 듣지 못하는 과보를 얻나니라.
11 선지식을 믿는 정도度에 따라 자신의 공부가 성취되나니라.
12 장맛이 짠 줄을 아는 사람은 다 공부工夫할 수 있나니라.
13 공부가 잘 되지 않는 것은 전생에 놀고 지낸 탓이니,
그 빚을 어서 갚아야 수입收入이 있게 되나니라.
14 남음 없는 신심信心만 있으면 도道의 기반基盤은 이미 튼튼해진 것이니라.
15 신심信心·분심憤心·의심疑心 세 마음을 합하여야 공부를 성취할 수 있나니라.
16 신심信心만 철저하면 곧 자율적 성취가 있게 되나니라.
17 법문을 듣고도 신심信心이 동動하지 않는 인간이라면
내세來世에는 다시 인간人의 몸을 받기가 어려우니라.
18 공부하는 사람이 제일 주의해야 할 것은 먼저 '나'를 가르쳐 줄 선지식을
택擇하여야 하고, '나'를 완성한 후에 남을 지도할 생각을 해야 하나니라.
19 명안종사明眼宗師의 인가印可도 없이 언필칭
선지식으로 남을 가르치는 죄가 가장 크니라.
20 이 법은 언어가 끊어지고 사량분별이 끊어진 곳에서 발견되는 도리라,
마음과 마음이 응답應答하여 상속하는 법으로, 선지식의 직접 가르침이
아니면 배울 수 없는 도리道理니라.
21 공부는 발심發心 본위라 별로 제한 받을 것은 없으나,
학령齡으로는 20십세로 부터 30세 까지가 적령이니라.
22 참선법은 평범한 연구나 공부가 아니요, 대對가 끊어진 참구법
곧 터럭 끝 하나 얼씬거리지 못하는 경지에 이르러야 하나니라.
23 백년年 연구가 일분간 무념처無念處에서 얻은 한 낱 이것만 같지 못하다.
24 일체 중생은 날 때부터 이성의 감응感應으로 말미암아 세세 생생에 익히는 것이
음양법陰陽法이니, 정신을 모으는 데는 이성의異性 장애가 제일 힘이 센 것이니,
공부하는 사람은 이성異性을 가장 멀리 해야 하나니라.
25 일체 생각을 쉬고 한생각<一念>에 들되, 일념이라는 생각조차
잊어 버린 염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나를 발견發見하나니라.
26 소아적 나는 소멸되여야 하기 때문에 공부를 성취 하기 전에는 썩은 그루터기
같이 추호秋毫도 돌아보지 않을 만큼 '나'의 존재<我相>를 없애야 하나니라.
27 나를 완성시키는 데는 삼대 조건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그것은 도량道場·도사道師 ·도반道伴이니라.
28 도道를 지키는 사람은 도절道節을 지켜야 하는 것이니, 도道는 하나이다.
도를 가르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도절道節을 지키지 않으면
정신적으로 시간적으로 손실을 보게 되느니라.
29 짚신 한 켤레를 삼는 데도 선생이 있고, 버섯 한 송이도 나는 땅이 있는데, 만물을
총섭總하는 도道를 알려는 사람이 도인의 가르침 없이 어찌 도인이 될 수 있으며,
천하정기를 다 모아 차지한 도인이 나는 땅이 어찌 특별히 있지 않을 것인가.
그리고, 도반道伴의 감화력은 선생의 가르침보다도 강强한 것이니라.
30 참선을 하여 인생 문제만 해결되면 억생 억겁에 지은 죄가 다 소멸되나니,
그 때는 사생육도四生六趣에 헤매는 고생을 다시는 받지 않게 되나니라.
31 수행자는 사람 노릇할 것은 아주 단념해 버리고 귀먹고 눈먼 병신이 되어,
일체 다른 일에 간섭이 없게 되면 대아大我는 저절로自然이루어 지나니라.
32 참선법은 상래로 있는 것이지만, 중간에 선지식들이 화두話頭 드는 법으로 참선하는
것을 가르치기 시작하여 그 후로 무수도인이 출현하였나니, 화두는 천칠백 공안이나
있는데, 내가 처음 들던 화두는 곧
『萬法歸一 一歸何處』
만법이 귀일이라 하니, 하나는 어디로 돌아갔는고를 의심하였는데,
이 화두는 이중적 의심이라 처음 배우는 사람은 만법이 하나로 돌아갔다고 하니,
하나는 무엇인고? 하는 화두를 들게 하는 것이 가장 좋으리라. '하나'는 무엇인고?
의심하여 가되 의심한다는 생각까지 떨어져 고요하고 고요하되
맑게 깨어 무념처無念處에 들어가야 '나'를 볼 수 있게 되나니라.
33 '하나'라는 것은 있는 것도 아니요, 없는 것도 아니요, 이 정신도 아니요, 영혼도
아니요, 마음도 아니니, '하나' 라는 것은 과연 무엇인고? 의심疑心을 지어 가되,
고양이가 쥐를 노릴 때에 일념에 들 듯, 물이 흘러갈 때에 간단間斷이 없듯,
의심疑心을 간절히 하여 가면 반드시 '하나'를 알게 되나니라.
34 참선한다고 하면서 세속에 조금이라도 미련이 남아 있거나, 인간으로서의 자랑
거리인 학문이나, 기발한 재주에 미련이 남아 있다면 참선하기는 어려운 사람인
것이니, 아주 백지白紙로 돌아가야 하나니라.
35 크게 '나'의 구속拘束에 단련을 치른다면 그 대가로 큰 나의 '자유'를 얻게 되나니라.
36 예전에는 선지식의 말 한마디에 돈망생사頓忘生死하는 이도 있고, 늦어야 삼일, 칠일
에 견성見性 한 이도 많다는데, 지금 사람들은 근기根機도 박약하지만 참선을 부업副
으로 해 가기 때문에 이십년, 삼십년 공부한 사람이 불법法의 대의大義를 모르는 이가
거의 전부니라.
37 밥을 자기가 먹어야 배부른 것과 같이, '자기'가 해야지
부처님도 선지식도 대신 제도濟度해 주지 못하나니라.
38 참선하려면 먼저 육식六識 전란戰亂을 평정平定시켜
마음이 안정되어야 비로소 공부할 준비가 된 것이니라.
39 가장 자유롭고 간편한 공부이기 때문에 이 공부를 할 줄 아는
사람은 염라국閻羅國 차사差使의 눈도 피避할 수 있나니라.
40 한 생각이 일어날 때 일체가 생기고, 한 생각이 멸할 때 일체가 멸하나니라.
내 한 생각의 기멸起滅이 곧 우주의 건괴建壞요, 인생人生의 생사生死니라.
41 말이 입에서 나오기 전에 그르쳤다함錯은 물질
'이전의 마음'<一念不起處>을 지적한 것이니라.
42 공부가 잘 된다고 느낄 때, 벌써 어긋난 것이니라.
43 꿈 속에서 공부해 가는 것을 증험하여 선생으로 삼을 것이니라.
44 꿈도 없고 생시도 없이 잠이 푹 들었을 때에『안신입
명처安身立命處』를 어디에 두는지 알아야 하나니라.
45 꿈이라 하는 것은 업신業身의 동작인데, 깨어 있을 때는 생각으로 헤매다가
잘 때 업신이 제 몸을 나투어 가지고 육신肉身이 하던 행동을 짓는 것이니라.
46 꿈과 생시가 일여一如하게 공부를 해 나아갈 수 있어야 하나니라.
47 산 몸이 불에 탈 때에 정상적 정신精神을 가질 수 있겠나? 헤아려서 미치지
못한다면 사死선을 넘을 때 자기 앞길이 막막하게 될 것을 알아야 하나니라.
48 공부인工夫은 공부를 아니하는 공부를 하여야 하는데,
공부工夫 아니하기가 공부하기 보다 더욱 어려우니라.<休去憩去>
49 공부를 잘하고 못하는 문제보다도 "이 공부밖에 할 일이 없다"는
결정적 《신심信心》부터 세워야 하나니라.
50 오전悟前이나 오후悟後나 한 번씩 죽을 고비를 넘겨야 하나니라.
51 참선은 모든 업장業障과 습기習를 녹이는 도가니<甕>니라.
52 사람을 대할 때에는 자비심慈悲心으로 응접하지만, 공부를 위하여서는 극악
극독심極惡極毒心이 아니면 八만 四천 번뇌마煩惱魔를 쳐부수지 못하나니라.
53 사형이 집행될 시간 직전에도 오히려 여념餘念이 있을지 모르지만,
정진精進중에는 털끝만한 어른거림이라도 섞여서는 아니 되나니라.
54 공부하는 데는 망상妄想보다도 수마睡魔가 두려운 것이니,
못견디게 퍼붓는 졸음을 먼저 조복調伏시켜야 하나니라.
55 인신身을 얻기가 극히 어려운 일이니, 사람 몸 가졌을 이 때를 놓치지 말고
공부에 힘쓰라. 사람 몸 한 번 놓치게 되면 또 다시 만나기 어려울 것이니라.
56 공부에 힘을 얻지得力 못하고 안광 낙지眼光落地하게 되면 인업
業만 남아 짐승도 미남·미녀로 보여서 그 뱃속에 들기 쉬우니라.
57 참선하는 사람의 시간은 지극히 귀중한 것이라,
촌음寸陰을 허비虛費하지 말아야 하느니라.
58 변소에 앉아 있는 동안처럼 자유롭고 한가한 시간이 없나니,
그 때만이라도 한생각一念에 든다면 견성見性할 수 있나니라.
59 공부가 늦어지는 까닭은 시간이 있거니 하고 항상 미루는 마음이 있기 때문이니라.
자고 나면 오늘은 살았으니, 살아 있는 오늘에 공부를 마쳐야지 어찌 내일을 믿으랴!
하고 날마다 스스로 격려해 가야 하나니라.
60 잠자리에 누울 때 하루 동안의 공부를 점검하여, 망상과 졸음으로 정진 시간보다
많이 보냈거든 다시 큰 용기를 내어 정진精進하되, 날마다 한결 같이 할 것이니라.
61 공부하다가 졸리거나 망상이 나거든 생사 대사大事에 자유롭지 못한
자신의 앞날을 다시 살펴 본다면 정신이 저절로 새로와질 것이니라.
62 사선을 넘을 때 털끝만한 사심이 있다면
참선하는 기억조차 사라져 없어지느니라.
63 육도생사 윤회하는 생활을 면免하려고 출가出家한 중僧이니 만큼
참선법을 여의고 하는 일은 모두가 생사법生死을 익히는 것이니라.
64 도道라는 것이 따로 있는 줄 알고, 구하는 마음으로
참선參禪을 한다면 외도外道에 떨어지게 되나니라.
65 설사 도인이 온갖 신통神通·변화를 부리고, 죽을 때에도 불가사의한 이적異蹟을
보일지라도 이는 상법相法이니, 이런 상법이란 하나도 가히 취할 바가 아니니라.
66 믿음은 부처를 찾아 오르는 발판이라, 몰아沒我의 발판을 딛고
부처님을 넘어 각자의 '자기自己' 정체正體를 찾아야 하나니라.
67 선학자禪學者는 선학자의 행위를 엄숙嚴肅히 가져서
입을 열지 않고서도 남을 가르치게 되어야 하나니라.
68 공부 과정에는 지무생사[知]·계무생사[契]·체무생사[體]·용무생사[用]의 네 가지
단계가 있는데 용무생사用無·生·死에 이르러야 비로소 이무애理無碍·사무애事無碍
하게 되는 대자유인이 되나니라.
69 공부할 때에 알려는 생각을 말라, 정진력을
얻기만 하면 공부는 저절로 성취되나니라.
70 공부가 완성되기 전에 미리 알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정진을
게을리하다가는 불법인연佛法因緣마저 떨어지기 쉬우니라.
71 어디에도 의존하지 않는 정신은 모양 없는 자리에서
일체 행동으로 능히 현실화할 수 있나니라.<無依道人>
72 정신精神은 물질의 창조자이지만, 물질이 아니면
정신의 존재存在와 효과가 나타나지 못하나니라.
73 물질은 각각 그 이름에 따르는 한 가지 책무 뿐인데, 정신은 이름도 모양도 없지만
만유의 근본<바탕>이라, 어디서 무슨 일에나 절대 능력자이니, 이 정신精神을 누구
나 다 가지고 있다. 이 '정신'만 도로 찾으면 만능萬能의 사람이 되나니라.
74 '정신'이라는 전당殿堂에는 생사와 선악이라는 두 배우俳優가 순번으로 삼라만상
森羅萬像이란 배경背景 앞에서 희비극을 무한한 형태로 연출演出하고 있나니라.
75 아무리 문명이 발달한 나라라 하더라도 도인이 없으면 빈 나라요, 아무리 빈약貧한
나라라 하더라도 도인道人 한 사람이라도 있으면 그 나라는 비지 않은 나라이니라.
76 도인道人은 도인이라는 대명사代名詞에 지나지 않는 도인이 되어서는 안 된다.
명상名相이 생기기 이전 소식을 증득證하여, 도인이라는 우상도 여의고, 계戒니
수행修行이니 하는 구속에서 벗어나 완전 독립적 인간이 되어야 육도六道에 순력
巡歷하면서 고苦를 면免하게 되나니라.
──────────────────────────────── ()()() ──────
♧. 출처 : 강호제현江湖諸賢
돈오입도요문론해제 - 성철스님 (0) | 2016.04.24 |
---|---|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 要門論) - 성철스님 번역 (0) | 2016.04.24 |
전강스님과 마조원상(馬祖圓相) 공안 (0) | 2016.03.16 |
선가구감 -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主而生其心) (0) | 2016.03.14 |
선가구감. 청허스님(서산대사) 지음. 용담스님 역주 (0) | 2016.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