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조 임금 때에
선하자라는 스님이 계셨답니다
벽송스님의 제자요
서산 스님의 사숙이 되시는 스님은
경상도 울산 사람으로 16세에 출가를 하여
전국으로 다니며 열심히 정진하여
대오를 목표로 삼았으나 도를 얻는 일은
생각만큼 그리 쉽지 않았습니다
24세가 되던 해에
스님은 마음을 다부지게 먹고
여러차례 관세음 보살님의
현신이 계셨다는 묘향산에 들어
관세음 보살을 친견하고자
백일 정진을 하기로 마음 먹습니다
스님은 정진에 필요한
최소한의 양식을 구하려 일념으로
관세음 보살을 염하며 탁발을 하여
부처님이 하셨듯이
하루 일곱집을 다니며
염불과 축원을 해주고 양식을 조금씩 얻어
마침내 백일 정진에 필요한 양식이 되자
일보일배의 절을 하면서
관음 기도처로 삼은 산중의 절로 향합니다
그렇게 정성을 다하여
입으로는 관세음 보살을 부르고
마음으로는 관세음 보살의 가피를 생각하며
온 몸으로 관세음 보살께
예를 올리면서 산을 오르는데
갑자기 열여섯명이나 되는
작은 동자승들이 나타나
스님의 무거운 걸망을
가볍게 받아 들더니
마치 산을 날듯 올라
기도처에 내려 놓고 가버립니다
선하자 스님은
이번에는 자신의 기도가 이루어져
마침내 관세음 보살을 친견하고
크게 깨달음의 기연을 얻을 것이라는 믿음이 들어
앞서 그 어느 때보다도 더욱 열심히 정진을 합니다
사시가 되면
정성으로 마지를 지어 불전에 올리고
그것을 내려서 하루 한끼의 양식으로 삼으며
하루 이틀 한달 두달 지나니
정진은 도를 더해 가고
이제는 앉으나 서나 자나 깨나
오매불망이 되어 관세음 보살을 염하는데
관세음 보살을 친견하고 아니 하고를 잊고
정진하는 시간이 지속되어 갑니다
마침내 백일 정진을
아무런 장애 없이 마치는 날
회향을 위하여 불전에 올릴 마지 밥을 지어
법당으로 향하는데 산중에서는 처음 보는
포수 한 사람이 총을 메고 법당 앞으로 다가옵니다
그러더니 스님 제가 산 속을 헤매다가
여러날을 굶주려서 이제 거의 아사할 지경인데
스님 들고 계신 밥을 좀 먹도록 해주십시요
하고 정중하게 요청을 하는데
스님은
이 마지 밥은 불전에 먼저 공양 올리고 나서
그대와 내가 나누어 먹어도 될것이니
잠시 기다리라 하는데
포수는 아무리 불전 공양이라도
지금 당장 사람이 죽어 가는데 어찌 이리
자비 문중에서 무자비를 행할수 있단 말입니까 하고는
지금 당장 밥을 주지 않으면 이 총으로 스님을 쏘고
밥을 먹을수 밖에 없습니다 하고 총을 겨눕니다
스님은
그대에게는 밥을 먹는 것이
최대의 관심사라면
내게는 백일 동안 정진하면서
조금도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고 행해온
불전에 올리는 공양 의식이 제일 중요하니
나는 내 할일 하고
당신은 당신 할일 합시다 하고는
관세음 보살을 염하며 불전으로 향하는데
포수는 그만 스님의 등에다
방아쇠를 당겨버립니다
탕!!! 하고 총소리가 울려 퍼지자
선하자 스님은 총에 맞아 쓰러진 것이 아니라
한 생각 마음 속에 사무치게 간직하고 있던
깨달음의 마지막 관문이
한 순간에 풀려져 버리는 대오를 얻게됩니다
스님은 불전에 감사의 회향을 하니
포수는 오매불망 스님이 찾아 구하던
관세음 보살의 화신이었고
십육명의 동자승은 십육 나한이었던 것입니다
마음이 투철하면
아무리 커다란 마장으로 나타난 경계도
나의 공부를 이루게 해 주는
조도법이 된다는 내용이니
공부인들은 마장이 있음을 두려워 하기보다
내게 마장이 없음을 걱정해야 할지도 모를 일입니다
왜냐하면 도고마성이란 말도 있듯이
내 공부가 수승해야 마장도 따라 나투는 것
공부가 적은 사람에게는
마장이 어디 시험이나 하겠습니까
스님은 스님의 일을 하고
포수는 포수의 일을 하며
관음 보살은 관음 보살의 일을 하니
각각 등보체의 길 위에서 우리는 언제나
밀어 주고 끌어 주는 영원한 도반입니다.
-석가모니불 카페에서 퍼옴-
'능가경' 중 라바나야차왕이 자심을 증득하는 장면 (0) | 2016.05.15 |
---|---|
원각경 보현보살장 중에서 (0) | 2016.04.29 |
육조스님과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主而生其心) (0) | 2016.03.14 |
[최보식이 만난 사람] 당대의 禪僧 진제 스님(동화사, 해운정사 조실) (0) | 2016.03.14 |
화엄경약찬게요해 (0) | 2016.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