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찌하여 부처와 보살들에게 절을 하지 말라고 합니까?“
”천마 파순과 아수라가 신통을 나투어 모두 보살의 모습을 짓는 것이니, 갖가지로 변화하는 것은 외도요 모두 부처가 아니다. 부처란 자기 마음이니, 부처에게 그릇 절하지 말라.
부처(佛 Budda)란 인도말이니, 중국말로는 각성(覺性)이다. 부처란 신령스러운 깨달음이니, 근기에 따라 중생을 제접하되 눈썹을 치켜올리고 눈을 깜박이며, 손을 흔들고 발을 움직이는 것이 모두 자기의 신령스러운 깨닫는 성품이다. 성품이 곧 마음이요 마음이 곧 부처이며, 부처가 곧 도요 도가 곧 선이니, 선이라는 한 글자는 범부가 헤아릴 바가 아니다.
또 이르기를 ’본성을 보는 것이 선‘이라 하니, 본성을 보지 못하면 선이 아니다. 설사 천경 만론을 강설하더라도 본성을 보지 못하면 다만 범부일 뿐, 부처의 법은 아니다. 지극한 도는 깊고도 멀어서 말로는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니, 경전의 가르침으로 어찌 미칠 수 있겠는가? 본성을 보기만 하면 글자 하나 모를지라도 괜찮다. 성품을 보면 곧 부처이니, 성인의 본체는 본래 청정하여 더러움이 없다. 모든 말씀이 다 성인의 마음으로부터 일어난 작용이니, 작용의 본체가 본래 비어 명칭이나 말로도 미칠 수 없거늘 십이부경이 어찌 미칠 수 있겠는가?
도는 본래 뚜렷이 이루어졌으니, 닦고 증득함이 필요하지 않다. 도는 소리나 물질이 아니며 미묘하여 보기 어려우니, 마치 사람이 물을 마시매 차고 더운 것을 자기만이 알 수 있을 뿐, 남에게는 말할 수 없는 것과 같다. 오직 여래만이 알 수 있고, 그 밖의 인간이나 천상계 등의 무리들은 도무지 꺠닫지도 알지도 못한다.
범부는 지혜가 미치지 못하므로 차별상에 집착한다. 자기 마음이 본래 비고 고요한 줄을 알지 못하고 망령되이 차별상과 온갖 법에 집착하면 곧 외도의 무리에 떨어지게 된다. 모든 법이 마음에서 생긴 것임을 알면 집착이 있을 수 없나니, 집착하면 알지 못한다. 만약 본성을 보면 십이부경이 모두 부질없는 문자이다. 천경 만론이 오직 마음을 밝혔을 뿐이니, 말끝에 계합하여 알면 교법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지극한 도는 말을 떠났고 교법은 말씀일 뿐이니 진실로 도가 아니다. 도는 본래 말이 없으니, 말은 거짓이다.
꿈에 누각이나 궁전이나 코끼리나 말의 무리나 나무 숲 정자 등의 모습을 보더라도 한 생각을 일으켜 맛들여서는 안 된다. 모두 망념이 의탁하여 태어나는 곳이니 부디 명심하라.
임종할 때에 형상을 취하지 않으면 곧 의혹을 없애려니와, 마음을 잠깐만이라도 일으키기만 하면 곧 마구니에 포섭될 것이다.
법신은 본래 청정하여 느낌(受, 감수성)이 없건만 다만 미혹한 까닭에 알지도 못하고 깨닫지도 못하며, 이 때문에 망령되이 업보를 받는다. 그러므로 맛들이면 자유롭지 못하다. 지금이라도 본래의 몸과 마음을 깨닫기만 하면 곧 습기에 물들지 않을 것이다.
성인의 경지에서 범부의 경계에 들어가서 갖가지 잡된 형상을 나타내 보이는 것은 본래 중생을 위한 까닭이니, 성인은 역경과 순경에 자재하여 온갖 업이 그를 구속하지 못한다.
성인의 지위를 이룬 지 오래 되면 큰 위덕이 있다. 온갖 중생의 업이 성인의 지휘를 받아 움직이니 천당과 지옥도 그를 어찌하지 못할 것이다.
범부는 정신이 어두워서 성인의 안팎이 밝은 것과 같지 못하다. 만약 의심이 있거든 일으키지 말라. 일으키면 생사의 바다에 헤매게 되어 후회하여도 구제할 길이 없을 것이다. 빈궁과 곤고가 모두 망상에서 생겼으니, 만약 마음을 알아서 서로 서로 권면하여 작용하되 자취 없이 작용하면 곧 부처의 지견에 들게 될 것이다.
처음으로 발심한 사람은 정신이 도무지 안정되지 못하니, 꿈 속에서 자주 이상한 경계를 보더라도 선뜻 의심하지 말라. 모두가 자기 마음에서 일어난 것이요, 밖에서 온 것이 아니다. 꿈속에서 햇빛보다 밝게 광명이 솟는 것을 보면 나머지 습기가 몽땅 다하고 법계의 성품이 나타날 것이다. 만약 이런 일이 있으면 부처를 이루는 요인이 될 것이니, 이는 자기만이 알 수 있을 뿐, 남에게는 말하여 줄 수 없다.
혹 고요한 숲속에서 가거나 멈추거나 앉거나 눕거나(行住坐臥) 간에 크고 작은 광명이 눈에 뜨이더라도 남에게 말하지 말며, 또 집착하지 말라. 자성의 광명이다. 혹 어둡고 고요한 밤에 가거나 멈추거나 앉거나 눕거나 간에 낮과 다름없는 광명이 눈에 뜨이더라도 괴이하게 여기지 말라. 이것도 모두 자기의 마음이 밝아지려는 조짐이다. 혹 꿈속에서 별과 달이 분명하게 보이더라도 이것 또한 자기 마음의 모든 반연이 쉬려는 조짐이니, 역시 남에게 말하지 말라. 꿈속에서 캄캄하여 마치 어둠 속에서 다니는 것 같더라도 이것 또한 자기 마음의 번뇌의 장애가 무겁다는 조짐이니, 또한 스스로 알아야 한다.
만약 본성을 보았거든 경전을 읽거나 염불을 할 필요가 없으니, 널리 배우고 많이 아는 것이 이익이 되지 못하며 정신이 차츰 어두워진다. 교법을 시설하여 놓은 뜻은 다만 마음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니, 마음을 안다면 가르침을 볼 필요가 없다.
만약 범부의 경지로부터 성인의 경계에 들고자 한다면 모름지기 업을 쉬고 정신을 길러서 분수에 따라 세월을 보내야 한다. 만약 분노함이 많으면 성품이 차츰 변하여 도와는 멀어지나니, 스스로를 속여도 아무런 이익이 없다.
성인은 생사 가운데에 자유롭게 드나들면서 숨고 나타남이 일정하지 아니하여 온갖 업이 그를 구속하지 못하며, 성인이 삿된 마구니들을 무찌를 것이다.
모든 중생들이 본성을 보기만 하면 나머지 습기가 단박에 다하여 정신이 어둡지 않나니, 부디 그 자리에서 깨달을지어다. 다만 지금 참으로 도를 알고자 한다면 한 법에도 집착하지 말고 업을 쉬고 정신을 길러야 한다. 나머지 습기가 다하면 자연히 밝아져서 공부할 필요가 없다.
외도는 부처의 뜻을 알지 못하므로 공력은 가장 많이 들이나 성인의 뜻을 저버리고, 종일토록 서둘러서 염불을 하고 경전을 읽어도 정신이 어두워 윤회를 벗어나지 못한다.
부처는 한가한 사람이거늘 어찌 서두를 필요가 있으며, 명리를 널리 구한들 뒷날 무엇에 쓰랴! 다만 성품을 보지 못한 사람은 경전을 읽고 염불을 하며, 오래도록 정진을 배우며, 하루 여섯 차례 예불하며, 오래 앉아 눕지 않으며, 널리 배우고 많이 아는 것을 불법으로 여기나, 이런 중생들은 모두 불법을 비방하는 사람들이다.
앞의 부처와 뒷부처가 오직 성품을 보라는 말씀만 하셨다. 일체의 현상은 덧없으니, 성품을 보지 못하고 망령되이 말하기를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無上正等覺)를 이루었다‘고 한다면 이는 큰 죄를 짓는 사람이다.
십대 제자의 한 분인 아난은 성문 가운데 으뜸이었다. 부처님은 알음알이가 없나니, 성문과 이승과 외도들로 하여금 오직 알음알이를 없애도록 하였다 그러나 아난은 알음알이로 수도니 증과니 따져 인과에 떨어졌으니, 이는 중생의 업보이어서 생사를 벗어나지 못하며 부처님의 뜻에 어긋난 것이다. 곧 부처를 비방하는 중생이니 죽여도 허물이 없다. 그러므로 경에 이르기를 ’천제(闡提, 斷佛種者, 信不具者)는 신심을 내지 않으니 죽여도 허물이 없다‘고 하였다.
만약 신심이 있다면 이 사람은 바로 부처 지위의 사람이다. 만약 성품을 보지 못하였다면 차선책을 쓸 필요가 없나니, 다른 어질고 착한 이를 비방하고 스스로를 속여도 아무런 이익이 없다. 선과 악이 뚜렷하고 인과가 분명하여 천당과 지옥이 오직 눈앞에 있다. 어리석은 사람은 믿지 않으므로 흑암지옥에 떨어지는 것을 보더라도 느끼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나니, 오직 업장이 무거우므로 믿지 않기 때문이다. 마치 소경이 햇빛이 있다는 말을 믿지 않는 것과 같으니, 설사 그에게 말하여 주더라도 또한 믿지 않을 것이다. 오직 눈이 없기 때문이니, 무엇을 의지하여 햇빛을 분별할 수 있으랴!
어리석은 사람도 또한 이와 같아서 방금 축생 등 잡된 무리에 떨어지거나 빈궁하고 하천한 무리에 태어나서 살려 하여도 살 수 없고 죽으려 하여도 죽을 수 없나니, 비록 이런 고통을 받더라도 직접 물어 보면 그도 또한 ’나는 지금 쾌락하기가 천당과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모든 중생은 자기가 태어난 곳으로써 쾌락을 삼아 느끼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이렇게 악한 사람은 오직 업장이 두텁기 때문에 능히 신심을 내지 못하는 사람이니, 그것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만약 자기 마음이 부처임을 본다면 머리와 수염을 깎고 안 깎고에 관계치 않으니, 속인도 또한 부처이다. 성품을 보지 못하면 머리와 수염을 깎았더라도 또한 외도이다.“
○ ”속인은 처자식이 있어 음욕을 없애지 못하였거늘 무엇에 의지하여 부처를 이룰 수 있겠습니까?“
”다만 성품을 보는 것(見性)만 말할 뿐, 음욕은 말하지 않는다. 범부는 오직 성품을 보지 못하였기 때문에 음욕이 문제가 되나, 다만 성품을 보기만 하면 음욕이 본래 비고 고요하여 끊어 없앨 필요가 없으며, 또한 맛들이지도 않을 것이니, 설사 나머지 습기가 있더라도 해독이 되지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성품은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니, 비록 오온의 몸 속에 묻혀 있더라도 그 성품이 본래 청정하여 물들일 수 없다.
법신은 본래 느낌이 없어서 주림도 없고 목마름도 없으며, 추위와 더위도 없으며, 질병도 없으며, 은혜와 사랑도 없으며, 권속도 없으며, 괴로움과 즐거움도 없으며, 좋고 나쁨도 없으며, 권속도 없으며, 괴로움과 즐거움도 없으며, 좋고 나쁨도 없으며, 길고 짧음도 없으며, 강함과 약함도 없으니 본래 한 물건도 얻을 수 없다. 다만 이 몸이 있기 때문에 주림과 목마름, 추위와 더위, 괴질과 질병 등의 형상이 있게 되었으니, 만약 스스로를 속이지 않겠다면 마음대로 행동하여 보라.
만약 생사 가운데서 자유로움을 얻어서 온갖 법을 굴리어 성인들의 신통과 같이 자유로워 걸림이 없으면 편안치 않은 곳이 없을 것이다. 마음에 의심이 있으면 결정코 온갖 경계를 통과하지 못할 것이다. 조작 없음이 가장 좋은 일이니, 조작하면 생사에 윤회함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만약 성품을 보면 전타라(백정)라도 부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전타라는 살생으로 업을 삼거늘 어찌 부처를 이룰 수 있겠습니까?“
”다만 성품을 보는 것만 말할 뿐, 업 짓는 것은 말하지 않는다. 설사 업을 짓더라도 미혹한 사람과는 달라서 온갖 업이 그를 구속할 수 없다. 비롯함이 없는 아무 먼 옛적부터 오직 성품을 보지 못하였기 때문에 지옥에 떨어지고, 그 때문에 업을 지어 생사에 윤회한다. 본성을 깨닫고부터는 끝까지 업을 짓지 않을 것이다. 만약 성품을 보지 못하면 염불을 하더라도 과보를 면할 수 없으니, 살생이 문제가 아니다. 성품을 보아 의혹을 단박에 없애면 살생을 하더라도 그를 어찌하지 못한다.
서천(인도)의 28대 조사님네들도 오직 대대로 심인을 전하셨고, 내가 이제 이 땅에 온 것도 오직 돈교 대승의 마음이 곧 부처라는 법을 전하고자 할 뿐이요, 계행 지키기와 정진과 고행, 나아가서는 불이나 물에 드는 법과 갈 꽂은 수레바퀴(劍輪山)에 오르는 것과 한 끼니 먹고 오래 앉아 눕지 않는 법 따위를 말하지 않나니, 그것은 모두 외도의 조작 있는 법이다.
만약 분별하고 움직이며 신령스럽게 깨닫는 성품을 알면 그대가 곧 불심이다. 앞의 부처와 뒷부처가 오직 마음을 전하셨을 뿐, 다시 다른 법이 없다. 이 마음을 알면 범부로서 글자 하나 몰라도 부처이거나와, 자기의 신령스럽게 깨닫는 성품을 알지 못하면 설사 몸이 부서져 먼지와 같이 되더라도 부처를 찾는 일은 끝내 어려울 것이다.
부처란 법신이라고도 하며, 불심이라고도 한다. 이 마음은 형상도 없고 인과도 없으며 힘줄도 뼈대도 없어서 마치 허공과 같이 잡을 수 없으니, 물질의 세계와 같지 않으며, 외도와도 같지 않다. 이 마음은 여래 단 한 사람만이 알 뿐, 그 밖의 미혹한 중생은 똑똑히 알지 못한다.
이 마음은 사대의 몸을 여의지 않았으니, 만약 이 마음을 여의면 움직일 수도 없다. 이 몸은 지각이 없어서 나뭇등걸이나 기와쪽과 같다. 몸은 감정이 없거늘 어떻게 움직이겠는가? 만약 자기 마음이 움직이면 나아가서는 말하고 분별하고 움직이는 것과 보고 듣고 아는 것이 모두 마음의 움직임이다. 마음이 움직이면 작용이 움직이니, 움직임 그대로가 작용이다. 움직임 밖에는 마음이 없고 마음 밖에는 움직임이 없다. 움직인다면 마음이 아니요, 마음이라면 움직이지 않는다. 움직임은 본래 마음이 없고 마음은 본래 움직임이 없다. 움직임은 마음을 여의지 않고 마음은 움직임을 여의지 않는다. 움직임에는 마음을 여의었다는 것도 없고, 마음은 움직임을 여의었다는 것도 없다.
움직임이 곧 마음의 작용이요 작용이 곧 마음의 움직임이다. 움직임이 그대로 작용이니 움직이지 않으면 작용하지 않는다. 작용의 본체는 본래 비었으며 공은 본래 움직임이 없다. 움직임과 작용이 다 같이 마음이나 마음의 근본은 움직임이 없다. 그러므로 경에 이르기를 ’움직이되 움직이는 바가 없다‘고 하였다.
종일토록 가고 오되 가고 온 적이 없고, 종일토록 보되 본 적이 없고, 종일토록 알되 안 적이 없고, 종일토록 기뻐하되 기뻐한 적이 없고, 종일토록 가되 간 적이 없고, 종일토록 멈추되 멈춘 적이 없다. 그러므로 경에 이르기를 ’말길이 끊어지고 마음이 갈 곳이 없어졌다‘고 하였다.
보고 듣고 느끼고 아는 것이 본래 스스로 뚜렷하고 고요하니, 나아가서는 성내고 기뻐하고 아프고 가려운 것이 어찌 로봇과 다르겠는가? 다만 미루어 찾건대 아픔과 가려움은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경에 이르기를 ’나쁜 업은 곧 괴로운 과보를 받고, 착한 업은 곧 좋은 과보를 받는다‘고 하였다. 다만 성내면 지옥에 떨어지고 기뻐하면 하늘에 태어나는 것만이 아니니, 만약 성내고 기뻐하는 성품이 빈 것인 줄 알아서 다만 집착하지만 않으며 곧 업력을 벗어나게 된다. 만약 성품을 보지 못하면 아무리 강론을 강설하더라도 결코 아무런 의지가 되지 못한다.
설명하자면 끝이 없기에 삿됨과 바름을 이렇게 간략히 표방하였을 뿐, 일일이 언급하지는 못하였다.“
○ 게송으로 말한다.
마음, 마음, 마음이여
참으로 찾기 어렵도다.
넓기로 말하면 법계에 두루하고
좁기로 말하면 바늘도 용납하지 못한다.
나는 본래 마음을 찾을 뿐, 부처를 찾지 않는다.
심계가 비어 아무것도 없음을 분명히 알라.
부처를 찾으려거든 다만 마음만을 찾을지니
이 마음, 마음, 마음 그대로가 부처로다.
내가 본래 마음을 찾지만 마음은 스스로 지니고 있나니
마음을 찾으려면 마음으로 알기를 바라지 말라
부처의 성품은 마음 밖에서 얻는 것이 아니니
마음이 생기는 때가 곧 죄가 생기는 때라네
○ 법을 전하는 게송
내가 본래 이 땅에 온 것은
법을 전하여 중생을 건지려 함이니
한 송이 꽃에 다섯 잎이 피어
열매가 저절로 맺어지리라
경허선사 참선곡 (0) | 2020.06.26 |
---|---|
'명추회요' 중 종경록 75권 9판 - "지말을 보면 근본을 알 수 있다" (0) | 2020.05.23 |
박산무이선사의 선경어(禪警語)- 경허선사 선문촬요 중 (0) | 2020.04.06 |
'혈맥론' (달마대사) (상) - 경허선사 '선문촬요' 중 (0) | 2020.03.16 |
정일선사 선어록 “전인미답지를 일러주마‘ 중에서 (0) | 2020.02.03 |